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늘엔 할매식당 청국장 연요리한상 연잎밥 시흥 식당 장금이 손맛

반응형
오늘엔 할매식당 청국장 연요리한상 연잎밥 시흥 식당 장금이 손맛

 

 

 

시흥 물왕리 일대에 자리 잡은 ‘장금이’는 그야말로 ‘연(蓮)’ 하나로 특별함을 완성한 연 요리 전문점입니다. 연잎밥만 떠올리던 기존 관념을 단숨에 뒤집을 만큼, 이곳의 상차림은 연잎·연근·연 씨앗 등 연 식재료를 활용한 퓨전 메뉴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한 상 차려진 연 퓨전 코스는 밥집이라기보다 작은 갤러리에서 열리는 전시회 같은 인상을 줍니다.

먼저 눈에 띄는 건 연잎밥입니다. 햅쌀에 대추·밤·표고버섯을 넣고 은은한 연향을 입혀 찐 후, 깨소금과 참기름으로 고소함을 더했죠. 한 입에 밥알의 부드러움과 연잎의 상쾌함이 동시에 퍼지면, 왜 연잎밥이 연 관련 음식의 ‘클래식’인지 고개가 끄덕여집니다. 그러나 ‘장금이’의 진짜 매력은 그다음부터 시작됩니다. 연근 청국장은 숙성 청국장의 진한 풍미 속에 연근 특유의 아삭함과 달큰함을 더해 줍니다. 청국장 특유의 무거움을 연잎이 부드럽게 정화해 주어 한 번 맛보면 깊은 여운이 남습니다. 연근 갈비찜은 푸짐한 소갈비와 두툼한 연근을 달콤짭짤한 양념에 졸여낸 메뉴로, 갈비의 육즙과 연근의 식감이 어우러져 ‘씹는 재미’를 선사합니다.

코스에 포함된 연 샐러드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연잎과 연근, 제철 채소를 화이트 발사믹 드레싱으로 버무려 내는데, 연잎의 은은한 향이 드레싱의 산미와 절묘하게 어우러집니다. 섬유질이 풍부해 식감은 아삭아삭하고, 입안이 개운해져 뒤이은 음식 맛을 더욱 돋워 줍니다.

오늘엔 할매식당 청국장 연요리한상 연잎밥 시흥 식당 장금이 손맛

연잎삼합은 이 집의 또 다른 인기 메뉴입니다. 삼합이란 돼지고기·김치·홍어를 함께 먹는 전통 음식인데, ‘장금이’에서는 보쌈고기와 독도새우젓, 연잎을 쌈 재료로 삼아 변주했습니다. 두툼한 연잎 한 장 위에 보쌈고기를 올리고 새우젓을 살짝 얹어 한입에 넣으면, 재료마다 지닌 풍미가 입안에서 하모니를 이룹니다. 술안주로도 손색없어 저녁 시간에는 종종 테이블마다 모락모락 김이 오르는 모습이 연출됩니다.

식사 마무리로 제공되는 동치미 국물은 ‘장금이’만의 숨은 보석입니다. 전날 과음해 속이 무거웠던 손님들도 동치미 국물 한 모금에 숙취가 씻기듯 상쾌해진다고들 합니다. 은은

한 단맛과 감칠맛이 어우러진 동치미 국물은 어떤 음식과도 조화롭게 어울려, 반주 술잔을 기울이며 즐기기에 더없이 훌륭합니다.

 

 

이 모든 메뉴를 탄생시킨 주인공은 전명화(59) 사장입니다. 물왕리 일대가 ‘연 음식 테마거리’로 선정되자, 전 사장은 전남 무안·충남 부여 등 전국의 연 연근 밭과 연음식 명가를 돌며 레시피와 재료 손질법을 배웠습니다. “아들·딸이 먹는 밥이라 생각하고 정성껏 만든다”는 그의 소신 아래, ‘장금이’의 상차림 하나하나는 손님을 향한 진심을 고스란히 담고 있습니다.

 

2010년 경기도가 선정한 ‘맛깔스런 경기 으뜸 음식점’으로 지정된 바 있는 ‘장금이’는, 연잎밥·연근 요리에 국한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메뉴를 선보여 왔습니다. 코스 메뉴 외에도 단품으로 즐길 수 있는 연근 전복 소갈비찜, 연 씨앗 강정, 연잎 튀김 등은 연의 다채로운 매력을 한층 더해 줍니다.

오늘엔 할매식당 청국장 연요리한상 연잎밥 시흥 식당 장금이 손맛

많은 손님들이 “이 집 상차림은 밥집이 아니라 건강한 예술”이라 평할 만큼, ‘장금이’는 연을 통해 ‘건강한 맛’과 ‘진심 어린 환대’를 전달합니다. 시흥시를 찾는다면 정(情)을 나누는 한 끼 식사로, 그리고 연 음식의 깊은 세계를 경험하는 미식 여행지로 ‘장금이’를 꼭 방문해 보시길 권합니다.

 

 

 

 

 

오늘엔 할매식당 청국장 연요리한상 연잎밥 시흥 식당 장금이 손맛

 

 

 


<할매 식당>

▶ 장금이

주소 : 경기 시흥시 피울길 167

전화 : 031-484-604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