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밥상 제천 조청 칡조청 무조청 주문 태양 나레이션
[한국인의 밥상] 겨울 산골의 선물, 제천 조청 마을 이야기 충북 제천의 깊은 산골 마을, 곰바위 마을. 이곳은 겨울에도 활기가 넘칩니다. 고향으로 돌아온 동창들이 다시 만나 만든 이 특별한 공동체는, 겨울마다 정성을 담아 전통 조청을 만듭니다. 단 몇 가구가 사는 작은 마을에서 시작된 이 이야기는 이제 전국적으로 유명한 ‘조청 마을’이라는 별칭까지 얻게 되었습니다.
12년 전, 농한기를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해 호기롭게 시작했던 조청 만들기. 하지만 가마솥으로 전통 방식을 재현한다는 건 말처럼 쉽지 않았습니다. 어릴 적 기억을 더듬으며 시작한 일이었지만, 쌀만 축내는 일이 다반사였죠. 그러나 시간과 노력을 더한 끝에, 이제는 솥만 만져도 온도를 짐작할 수 있는 솜씨가 생겼고, 불 조절은 마치 예술처럼 완벽해졌습니다.
정성으로 탄생하는 7가지 조청 조청을 만드는 과정은 고된 노동의 연속입니다. 첫 번째 과정은 고두밥을 짓는 것. 마을에서 특별히 제작한 대형 솥에 밥을 짓고, 이 밥으로 식혜를 만듭니다. 식혜를 체에 걸러 얻은 원액을 졸이기 위해 최소 8시간 이상 솥 곁을 지켜야 하죠. 밤낮으로 이어지는 정성스러운 작업 끝에 탄생하는 조청은 무려 7가지나 됩니다.
한국인의밥상 제천 조청 칡조청 무조청 주문 태양 나레이션 이 마을의 조청은 단순히 단맛을 내는 것이 아니라, 건강을 고려한 천연의 풍미가 가득합니다. 무 조청, 칡 조청부터 쌀 조청까지, 각각의 조청은 독특한 맛과 활용법을 자랑하며, 이제는 마을의 자랑이자 자산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조청 만들기, 함께하는 즐거움 조청을 만드는 날이면 새벽부터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모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무 조청과 칡 조청. 재료 손질로 시작된 하루는 칡 전분으로 만든 부침개로 허기를 달래며 이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마을의 온기가 부엌에 가득 차고, 사람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습니다.
조청을 졸이는 긴 시간 동안 마을 사람들은 함께 끼니를 해결합니다. 정연택(71세) 씨와 유미준(68세) 씨가 만든 지칭개 국은 마을 별미로 사랑받습니다. 지칭개는 억세고 쓴맛이 강해 손이 많이 가는 재료지만, 정성스럽게 치대고 콩가루를 더해 끓이면 부드럽고 깊은 맛을 냅니다.
특히 이 마을의 밥상에는 설탕 대신 조청이 사용됩니다. 닭볶음탕에는 무 조청이, 표고버섯 요리에는 쌀 조청이 들어가 요리의 풍미를 한층 높입니다. 전통 조청이 담긴 밥상은 단순한 끼니를 넘어, 마을 사람들의 추억과 정이 담긴 특별한 순간을 만들어 냅니다.
태양과 함께하는 ‘한국인의 밥상’ 이번 방송에서는 가수 태양이 내레이션으로 참여해, 제천 산골 마을의 겨울 밥상 이야기를 따뜻하게 풀어냅니다. 한식을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진 태양은 평소 애청하던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어 큰 기쁨을 표현했다고 합니다.
한국인의밥상 제천 조청 칡조청 무조청 주문 태양 나레이션 무대에서 강렬한 카리스마를 뽐내던 태양은 이번 방송에서 일상적이고 편안한 목소리로 반전 매력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그의 담백하고 정감 있는 목소리는 마을 사람들의 소박한 삶과 전통의 가치를 더욱 생생하게 전할 것입니다.
제천 산골 마을에서 시작된 겨울의 행복 곰바위 마을의 겨울은 단순히 추운 계절이 아닙니다. 함께 모여 정성과 웃음으로 만들어낸 조청, 그리고 그 조청으로 빚어낸 따뜻한 밥상은 마을 사람들에게는 물론, 이 방송을 보는 이들에게도 깊은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
한국인의밥상 제천 조청 칡조청 무조청 주문 태양 나레이션 태양의 목소리로 만나는 제천 산골 마을의 이야기, 이번 ‘한국인의 밥상’은 우리가 잊고 있던 정겨움과 따뜻함을 되찾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겨울의 한가운데서 피어나는 이 따뜻한 여정을 기대해주세요!